청년기본소득, 어디서 쓸 수 있을까?
2025년에도 경기도에서는 청년기본소득을 통해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로 25만 원 상당의 경기지역화폐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지역화폐, 대체 어디서 쓸 수 있나요?”라는 것이죠. 이 글에서는 청년기본소득으로 받은 지역화폐 사용처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또한 경기지역화폐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가맹점을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도 함께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지역화폐 사용처 범위 및 확인 방법
1. 기본 사용 가능 업종
경기지역화폐는 대형마트·백화점·기업형 슈퍼마켓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사용처 유형입니다:
- 편의점 (단,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 제외)
- 음식점, 카페 (동네 개인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 중 일부)
- 병원, 약국 (개인 운영 병·의원)
- 미용실, 네일샵, 피부관리실
- 문구점, 학용품 판매점
- 대중교통 선·충전, 택시 결제 (일부 지역)
※ 유의사항: 이마트·홈플러스·코스트코·스타벅스 등 대기업 직영점에서는 사용 불가합니다.
2. 모바일 앱으로 가맹점 찾기
경기지역화폐 사용 가능 매장은 ‘경기지역화폐’ 앱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 앱스토어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경기지역화폐’ 앱 설치
- 로그인 후 사용처 찾기 메뉴 선택
- 현재 위치 기반 또는 동별 검색 가능
- 가맹점명, 업종, 거리 기준 필터 적용 가능
특히 ‘카카오페이 경기지역화폐’를 연동했다면, 카카오페이 내에서도 일부 사용처 검색이 가능합니다. 다만 카카오페이는 일부 업종 정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어, 가장 정확한 정보는 경기지역화폐 전용 앱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는 방법
경기지역화폐 사용처는 실제 매장 입구에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계산대 근처에도 지역화폐 결제 가능 여부를 안내해두는 곳이 많으니, 매장에 들어가기 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불확실한 경우 매장에 직접 “경기지역화폐 사용되나요?”라고 문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제대로 알고 쓰면 유용한 지역화폐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비 혜택을 함께 잡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다만 지역화폐의 특성상 대형 유통업체에서 사용이 제한되므로, 사용처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죠. 경기지역화폐 앱과 오프라인 가맹점 표기만 잘 확인하면, 일상 속에서 식사, 병원, 교통 등 다양한 곳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요. 2025년 청년기본소득을 최대한 알차게 활용하고 싶다면, 꼭 본문에서 소개한 사용처 확인법을 실천해